알고리즘이 실생활에 적용되는 사례를 생각해보다가 "인기순" 정렬이 생각이 났습니다.모든 판매 플랫폼에는 고객의 구매를 돕는 "인기순" 정렬이 있습니다."인기순" 정렬 기준이 플랫폼마다 다를거라는 생각이 들어서 일반적으로 어떤식으로 설계하는지 알아봤습니다.저는 LMS 플랫폼을 기준으로 생각해봤습니다. 1. 핵심 지표 선정'인기'란 추상적인 단어입니다. 어떤걸 '인기'의 척도로 할지 고민이 필요합니다.Ex)- 수강 신청 수- 별점- 댓글 수- 완강률- 장바구니에 담은 사용자의 수- 사용자 행동 로그(클릭, 조회, 머무른 시간) 여기서 한개의 지표로만 정렬을 하기에는 로직 자체는 간단하지만 몇가지의 오류가 생길 것 같았습니다.- 수강 신청 수 -> 강의를 오픈한지 오래 됐을 수록 수강 신청 수 가 많을 가능성..